샘플 애플리케이션을 수정하는 것으로 시작해보자. 수정하기 위해서 어떤 디렉토리 구조를 가지고 있고 어디를 수정하면 코딩을 할 수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 JS 코딩하기 public 파일은 샘플 애플리케이션이 나타나는 index.html이 있는 파일이다. 이 index.html을 살펴보면, 이렇게 id root가 있다. 리액트를 사용하면서 만들어지는 component는 모두 이곳에 넣기로 creat-react-app은 약속되어 있다. 실제로 개발자 도구를 통해 살펴보면 이렇게 root 안에 리액트로 만들어진 태그들이 들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component들은 어떤 파일에서 만들 수 있는가? 그것은 바로 src 디렉토리 안에 있는 파일을 수정해서 만들 수 있다. 그래서..
생활코딩 이고잉 님의 리액트 강의를 부스트코스를 통해서 수강하고 있다. 웹 프론트엔드 시작하기 (리액트&리덕스) > 오리엔테이션 : 부스트코스 (boostcourse.org) component란 리액트에서 사용자 정의 태그를 작성하는 것을 component 라고 한다. 이렇게 component를 사용할 경우 가독성이 좋아진다. 재사용성이 좋아진다. 유지보수하기 좋다. 가독성의 경우, 복잡한 코드를 따로 component로 저장하고 실제 코드에선 component만 작성하면 되기 때문에 훨씬 좋다. 재사용성의 경우, component를 한번 정의해두면 다른 사이트에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좋다. 유지보수의 경우, 만약 component에 오류가 있어서 변경할 경우 그 component..